본문 바로가기
일간경제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의 영향

by 지식스푼 2025. 4.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스푼입니다.

요즘 미국경기가 관세정책, 대통령 등 불안정한 것과 더불어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테그플레이션의 정의, 현상 및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 - Stagflation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를 의미합니다.

보통은 경제가 좋지 않으면 (불황기) 소비가 줄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가 좋은 호황기일 때는 투자와 소비가 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자연적이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고용률이 낮아지고 소비가 줄어드는 동시에 물가가 오르는 복잡한 상황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경제학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을 판단할 때 주로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합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CPI): 일반 가정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들의 변동되는 가격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 경제성장률: 한 나라가 경제 규모면에서 얼마나 더 커졌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죠.

스테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소비자물가지수는 상승하는데 경제성장률은 낮아지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됩니다.다만 이런 현상이 상당 기간 지속되었을 때 스테그플레이션이라고 여겨집니다.

스태그플레이션보다 정도가 심한 것을 칭하는 말로는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이 있습니다.

 

2.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은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여겨지는 원인은 아래가 있습니다.

 

첫째, 공급 감소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생산에 필요한 비용이 갑자기 많이 올라서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죠. 원자재가격의 급등, 공급쇼크, 임금상승, 금리인상등이 속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들은 기업들이 비용 부담 때문에 생산을 줄이게 만들고, 결국 경제 성장은 둔화됩니다.

 

둘째, 수요 측면의 감소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경제 불황으로 인해 소비를 줄이게 되면, 기업의 매출이 감소하고 이는 다시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악순환이 스테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의 영향

 

먼저,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실질 소득의 감소입니다. 물가는 오르는데 임금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구매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두 번째로, 소비 패턴의 변화를 들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가 안 좋아진다면 당연히 사람들은 지출을 줄이게 됩니다. 여가 활동이나 사치품에 대한 지출이 먼저 줄어들고, 더 저렴한 물건을 구매하려는 소비 패턴으로 변화합니다.이는 관련 산업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제 침체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취업난과 고용 불안이 지속됩니다. 경기가 침체되면 기업들은 신규로 채용하는것도 줄이고 기존에 있던 직원들까지도 구조조정을 하게 됩니다.

네 번째로, 저축과 투자가 어려워집니다. 이 상황에서는 물가 상승률이 은행 이자율보다 높아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럴 경우 은행에 돈을 저축해 두면 오히려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셈이 됩니다.

 

 

>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서운 이유는 이 상황을 탈출할 뾰족한 대책이 없기 때문입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에서 열심히 돈을 풀 경우, 경제는 살 릴수 있지만 시장의 유동성 증가로 물가가 더 상승을 합니다. 

반면 물가를 잡기위해 정부에서 유동성을 줄이게 되면, 이번에는 물가를 잡을 수는 있을지 몰라도 시중에 돈이 없어져 경제가 나빠지게 됩니다. 가득이나 경제가 나빠져 사람들이 죽을 맛인데 이 상황에서 경제가 더욱더 악화 된다면 정말 큰일입니다.

경제를 살릴 수도, 그렇다고 물가를 잡을 수도 없는 애매한 상황이기 때문에 더 스태그플레이션은 무서운 존재로 다가오는 것입니다.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여러 경제지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대비하고, 평소에 열심히 저축해서 이런 상황에서도 잘 견디고 넘어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