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31일의 경제 소식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 국내외의 증권 지수는 아래 표와 같았다.
최근 3일 전 부터는 국내외 증시 모두 작지 않은 폭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Date | KOSPI | KOSDAQ | S&P500 |
2025.03.18 | 2,612.34 (+0.06%) | 745.54 (+0.27%) | 5,614.66 (-1.07%) |
2025.03.19 | 2,628.62 (+0.62%) | 738.35 (-0.96%) | 5,675.29 (+1.08%) |
2025.03.20 | 2,637.10 (+0.32%) | 725.15 (-1.79%) | 5,662.89 (-0.22%) |
2025.03.21 | 2,643.13 (+0.23%) | 719.41 (-0.79%) | 5,667.56 (+0.08%) |
2025.03.24 | 2,632.07 (-0.42%) | 720.22 (+0.11%) | 5,767.57 (+1.76%) |
2025.03.25 | 2,615.81 (-0.62%) | 711.26 (-1.24%) | 5,776.65 (+0.16%) |
2025.03.26 | 2,643.94 (+1.08%) | 716.48 (+0.73%) | 5,712.20 (-1.12%) |
2025.03.27 | 2,607.15 (-1.39%) | 707.49 (-1.25%) | 5,693.31 (-0.33%) |
2025.03.28 | 2,557.98 (-1.89%) | 693.76 (-1.94%) | 5,580.94 (-1.97%) |
2025.03.31 | 2,481.12 (-3.00%) | 672.85 (-3.01%) | NA |
오늘의 메인 소식은 바로 공매도가 1년 5개월 만에 전면 재개되었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코스피 지수가 2%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오늘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이날 오전 9시 10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63.81포인트(2.49%) 내린 2494.17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까지 외국인 투자가가 1708억 원 순매도하고 있으며 개인과 기관이 각각 1478억 원, 137억 원어치를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크게 내리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전 거래일보다 2.33% 내린 5만 8800원에 거래되고 있고, SK하이닉스(000660)는 -3.06% 하락한 19만 3200원에 거래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도 5.20%, 3.24% 각각 내리고 있다.
같은 기간 코스닥도 2.79% 하락한 674.35에 거래 중이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이 5.89%, 에코프로(086520)가 9.15% 크게 떨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면서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특히 고평가 논란이 일었던 대형 기술주의 낙폭이 컸다.
미국발 상호관세 우려, 경기 침체 가능성 등이 확산하며 31일 일본 닛케이지수가 4% 이상 하락하는 등 아시아 증시 역시 큰 조정을 받았다. 코스피는 공매도 재개에 대한 경계심까지 악재가 겹치며 3% 급락해 2480선으로 밀려났다.
달러당 원화값은 1470원 선이 무너지며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이후 16년 만에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31일 외국인들은 코스피를 현물에서 1조5772억원어치, 선물에서는 9954억원어치 순매도했다.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들이 돌아올 것이란 기대도 있었으나 보편관세 우려까지 나오자 외국인들은 시가총액 상위주를 대거 투매하면서 신흥국 투자 비중을 축소했다.
외국인들은 SK하이닉스를 3379억원, 삼성전자를 2088억원 규모 순매도했다. 삼성전자는 3.99% 하락한 5만7800원에 장을 마감해 다시 ‘5만전자’로 떨어졌다. 그동안 밸류에이션 부담이 컸던 배터리·2차전지 종목에 대해서도 공매도 재개가 시작되면서 외국인들은 순매도에 나섰다. 이날 에코프로는 12.59%, LG에너지솔루션은 6.04%, 삼성SDI는 5.47% 급락했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3개월째 급락하면서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됐다. 여기에 월스트리트저널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율이 최대 20%까지인 보편관세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시장의 불안 심리를 더 키우게 된 것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날 증시 급락은 트럼프 관세 리스크를 선반영하는 과정이며 이로 인한 경기 침체, 물가 급등 우려까지 모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전날보다 6.4원 하락한 1472.90원에 주간 거래(오후 3시 30분)를 마쳤다. 2009년 3월 13일(1483.05원) 이후 종가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 들어 주간 종가에서 1470원이 무너진 것은 지난 1월 13일(1470.80원) 이후 처음이다.
두번째 소식은 원/달러 환율이 글로벌 불확실성과 국내 정치 혼란이 겹치면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는 내용이다.
3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4원 오른 1472.9원에 마감했다. 이는 2009년 3월13일 기록한 1483.5원 이후 16년 만의 최고치다. 이날 환율은 1470.6원에 개장한 뒤 1460원 후반에서 1470원 초반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환율 상승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도입 시사와 이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자리 잡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현지시각) 기자들과 만나 "상호 관세는 모든 국가에서 시작될 것"이라며 무역 압박 강도를 높였다. 앞서 미국 행정부는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개별 품목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4월2일부터 20% 수준의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한 바 있다.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자금이 위험자산을 회피하며 달러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한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도 원화 약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4월로 넘어가며 정치적 혼란이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불안감을 예민하게 선반영한 이유 있는 약세"라며 "4월부터 미국의 관세 범위가 확대될 경우, 위험회피 심리가 더 강해지면서 원화 약세 압력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달러인덱스는 전일 대비 0.44% 하락한 103.874를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달러는 다소 약세였지만 원화는 그 이상으로 약세를 보이며 환율이 단독으로 오른 셈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정체·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국민소득이 감소하는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Referenc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68375
“4월 2일 눈뜨기 무섭다”...벌써 공포에 떠는 전세계 증시, 트럼프가 무슨 일이
한국은 공매도 재개까지 3중 폭탄 외국인들 현선물 합쳐 2조5000억원 순매도 미국 경기지표에 보편관세 언급에 수출비중 높은 동아시아 증시 직격탄 미국발 상호관세 우려, 경기 침체 가능성 등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67578
원/달러 환율, 16년 만에 최고… 트럼프발 관세·탄핵 정국 겹쳤다
원/달러 환율이 글로벌 불확실성과 국내 정치 혼란이 겹치면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3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4원 오른 1472.9원에 마
n.news.naver.com
'일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간경제 / 2025-04-03 / 미국 증시 폭락 / 달러 하락세 / 미국 상호 관세 발표 (0) | 2025.04.04 |
---|---|
일간경제 / 2025-03-21 / 토허제 재지정 / 강남 3구 토지허가거래구역 / 3.19 부동산 대책 정리 / 서울 부동산 안정화 대책 (0) | 2025.03.22 |
일간경제 / 2025-03-17 / 배우자 상속세 폐지 / 상속세법 발의 / 1분기 청약 결과 분석 / 2025년 청약 일정 (0) | 2025.03.17 |
일간경제 / 2025-03-13 / 금 가격 현황 알아보기 / 방산주 상승 기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현대로템 (0) | 2025.03.13 |
일간경제 / 2025-03-10 / 비트코인 국가별 하락 / 홈플러스 사태 정리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