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스푼입니다.
오늘은 ETF 를 투자할 때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인 순자산가치 (NAV, Net Asset Value)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F의 실제 가치 = 순자산가치(NAV)
- NAV 정의
ETF가 보유한 자산(주식, 채권 등)의 전체 가치를 ETF 발행 좌수(share 수)로 나눈 값.
쉽게 말하면, ETF가 들고 있는 ‘바구니 속 자산’을 다 합산한 뒤 한 주당 얼마인지 계산한 가격입니다. - 공식
- 특징
- 하루 1회, 장 마감 후 공시됩니다. (정확한 NAV)
- 투자자들이 실시간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거래 시간 중에는 **iNAV(실시간 추정 NAV)**도 제공됨.
2. 실제 가치를 NAV로 보는 이유
- ETF는 **펀드(자산의 집합체)**이므로, ‘한 주당 얼마의 자산 가치를 담고 있는가?’를 보는 게 합리적입니다.
- 즉, ETF는 그냥 주식이 아니라 "자산 바구니"니까, 그 바구니 속 실질 가치를 대표하는 게 바로 NAV라고 할 수 있씁니다.
- 주식의 "적정 가치"를 산출하는 건 애널리스트 의견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ETF의 경우 보유 종목과 비중이 명확히 공개되므로 NAV 계산이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됩니다.
3. 예시로 계산해보기
가상의 KOSPI200 ETF가 있다고 해봅시다.
- ETF가 보유한 자산
- 삼성전자 주식 50억 원
- SK하이닉스 주식 30억 원
- 현대차 주식 20억 원
- 총자산 = 100억 원
- ETF 부채 (운용보수 등) = 1억 원
- 발행 주식 수 = 1,000만 주
NAV 계산
NAV=100억−1억1,000만주=9,900원NAV = \frac{100억 - 1억}{1,000만 주} = 9,900원
👉 이 ETF의 **실제 가치(1주당)**는 9,900원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4. 실전에서 NAV 확인 방법
- 정확한 NAV → 장 마감 후 한국거래소(KRX)에서 공시
- 실시간 iNAV(추정치) → 거래 시간 중 HTS/MTS에서 확인 가능
따라서 투자할 때는 **시장가격과 iNAV 차이(괴리율)**를 체크해서, 너무 비싸게 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게 좋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반응형
'경린이 탈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적오차와 괴리율 개념알기 / ETF 투자 용어 (0) | 2025.08.25 |
---|---|
ETF와 펀드, 무엇이 다를까? 초보자를 위한 핵심 비교 가이드 (0) | 2025.08.24 |
대선 후보 주요 공약 정리 3편 / 개혁신당 이준석 공약 (0) | 2025.05.28 |
대선 후보 주요 공약 정리 2편 / 국민의힘 김문수 공약 (1) | 2025.05.20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알아보기 / 가입 대상, 금리, 납입 기간 / 정부지원금 (0)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