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스푼입니다.
오늘은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명목소득
경제학에서 명목소득은 화폐액으로 표시된 액면 그대로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말 그대로 우리가 실제 얻는 소득, 그 숫자 자체입니다.
2. 실질소득
명목소득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실질소득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여 명목소득을 재조정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물건 가격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변하게 되므로, 명목소득을 기준 시점에 맞추어 다시 산출한 것입니다.
실질소득은 명목 소득을 물가 지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계산되고, 이때 기준 연도의 물가 지수를 100으로 보기 때문에 명목 소득과 실질 소득은 같다고 가정합니다.
보통 일정 기간 동안의 소득 변화로 경제 형편이 나아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명목 소득이 아닌 물가 변동에 따른 화폐 가치의 변동을 반영한 실질 소득을 비교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준 연도에 500만원이었던 임금이 현재 10% 상승하여 550만원이 되었더라도 구매력으로 평가한 경제 형편은 얼마나 물가가 상승했는지에 따라 좋아졌을 수도 있고 나빠졌을 수도 있습니다.
ex)
=> 만일 기준연도 대비 물가가 10%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10이 되었다면 현재의 실질 임금은 기준 연도와 마찬가지로 500만원으로 변함이 없습니다.
=> 물가가 5%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05가 되었다면 실질 임금은 524만 원이 되어 경제 형편은 좋아진 것으로 간주합니다.
=> 반면 물가가 15% 상승하여 물가 지수가 115가 되었다면 실질 임금은 478만원이 되어 경제 형편은 나빠진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명목소득으로는 경제규모, 1인당 GNI, 산업구조 등을 파악해보는데 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실질소득은 경제성장률을 계산하거나 국민경제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등을 알아보는 데 이용됩니다.
3. 실질소득이 명목소득보다 감소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관련 요인으로는,
1. 인플레이션
2. 유가 급등
3. 환율변화
4. 물가상승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나의 구매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명목소득 뿐만 아니라 실질소득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경린이 탈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 후보 주요 공약 정리 2편 / 국민의힘 김문수 공약 (1) | 2025.05.20 |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알아보기 / 가입 대상, 금리, 납입 기간 / 정부지원금 (0) | 2025.05.11 |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0) | 2025.01.20 |
환율 변동의 요인 / 환율 변동 원리 알아보기 (0) | 2025.01.10 |
직원할인과세 알아보기 / 근로소득 과세 / 정부 세법 개정안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