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2일의 경제 소식에 대해 알아보자.
저번주부터의 국내외 증권 지수는 아래와 같았다.
Date | KOSPI | KOSDAQ | S&P500 |
2025.04.28 | 2,548.86 (+0.10%) | 719.41 (-1.41%) | 5,528.75 (+0.06%) |
2025.04.29 | 2,565.42 (+0.65%) | 726.46 (+0.98%) | 5,560.83 (+0.58%) |
2025.04.30 | 2,556.61 (-0.34%) | 717.24 (-1.27%) | 5,569.06 (+0.15%) |
2025.05.01 | NA | NA | 5,604.14 (+0.63%) |
2025.05.02 | 2,559.79 (+0.12%) | 721.86 (+0.64%) | 5,686.67 (+1.47%) |
2025.05.05 | NA | NA | 5,650.38 (-0.64%) |
2025.05.06 | NA | NA | 5.606.91 (-0.77%) |
2025.05.07 | 2,573.80 (+0.55%) | 722.81 (+0.13%) | 5,631.28 (+0.43%) |
2025.05.08 | 2,579.48 (+0.22%) | 729.59 (+0.94%) | 5,663.94 (+0.58%) |
2025.05.09 | 2,577.27 (-0.09%) | 722.52 (-0.97%) | 5,659.91 (-0.07%) |
2025.05.12 | 2,607.33 (+1.17%) | 725.40 (+0.40%) | NA |
오늘 첫번째 소식은 계속 치솟던 금값이 소폭 하락했다는 기사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고공행진하던 금값이 급락했다.
1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전장(3324.63) 대비 2.35% 떨어진 트로이온스당 3246.47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한국거래소 KRX금시장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은 1g당 14만8460원으로 전일 대비 0.99%(1480원) 떨어졌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위기가 장기화할수록 선호가 커진다. 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재집권 이후 달러에 대한 신뢰가 약화하면서 금 수요에 힘이 실렸다. 금은 올들어 약 28% 상승하며 강세장을 이어갔다. 지난달에는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500달러를 돌파했고, 현재 시세는 3년 전과 비교해 두 배 가량 올랐다.
JP모건은 "트럼프 행정부가 달러 패권의 부담을 동맹국에 분담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금 등 대체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날 금값 하락은 미·중 협상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로이터, AFP 통신 등 외신은 이날 미국과 중국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한 고위급 무역 협상을 통해 각각 상호관세를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 상품에 매기는 관세는 145%에서 30%로 낮아지게 된다.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매겼던 관세 125%는 10%로 낮아진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협상 결과를 긍정적인 호재로 보면서 "더 큰 미중 협상을 위한 프레임워크*가 논의 테이블에 있음을 보여주는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평가했다.
미중 관세 완화 진전 소식에 달러화 가치와 국제유가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 6월 선물은 전 거래일 한때 100선이 잠시 무너졌지만 이후 상승 전환, 현재 101 수준으로 급등했다. 6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2.93% 오른 배럴당 62.80달러를 기록 중이다.
미중 무역 협상의 여파는 금값 뿐만아니라 국내 주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30.06포인트(1.17%) 오른 2607.33으로 집계됐다. 지수는 16.67포인트(0.65%) 오른 2593.94로 출발한 뒤 2590선 흐름을 이어가다 장 후반 상승폭을 확대해 2600선을 넘어섰다. 코스피가 2600선 위에서 마감한 것은 지난 3월 27일(2607.15) 이후 약 한 달 반 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이 장 막판 매수 규모를 크게 늘리며 3421억 원을 순매수해 지수에 상방 압력을 가했다. 개인이 3894억 원의 매도 우위를 보였고 외국인도 75억 원어치를 팔아 나흘 만에 매도로 전환했다. 외국인은 다만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3054억 원을 순매수해 지수 상승에 기여했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4원 오른 1402.4원에 거래됐다. 코스피 상승은 주말 사이 진행된 미중 무역 협상이 긍정적으로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스위스 현지 시간으로 12일 회담 세부 내용이 공개될 예정인 가운데 글로벌 증시를 억누르던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되며 위험자산 선호(리스크온) 심리가 강화되는 모습”이라며 “원래 강세를 보이던 업종에서 관세와 무역정책 우려로 눌려있는 업종으로 수급 이동이 빠르게 일어났다”고 분석했다.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가 5.11% 급등한 5만7600원에 마감했고 SK하이닉스도 2.58% 오른 19만5000원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삼성전자를 1362억 원, SK하이닉스를 617억 원 순매수했다.
경제용어 정리!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어떤 작업이나 개발, 혹은 문제 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구조나 틀을 의미한다. 국제 문제 해결, 협상 등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유가증권시장: 한국거래소(KRX)에서 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매매거래를 위해 운영하는 시장이다. 주식 시장은 유가증권시장(KOSPI)과 코스닥시장이 있으며, 주로 중대형 우량 기업이 상장되어 있다.
|
[Referenc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54060
미·중 관세협상 진전에 치솟던 금값 `뚝`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고공행진하던 금값이 급락했다. 1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전장(3324.63) 대비 2.35% 떨어진 트로이온스당 3246.47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8/0000106863
美中 무역전쟁 완화 기대감에 코스피 30P ↑…2600대 복귀
코스피가 12일 미중 무역 협상이 긍정적으로 마무리됐다는 소식에 힘입어 한 달 반 만에 2600선을 되찾았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30.06포인트(1.17%) 오른 2
n.news.naver.com
'일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간경제 / 2025-05-07 / 환율 하락 / 환율 변동 살펴보기 / 전세가율 통계 / 전세가율 양극화 (0) | 2025.05.07 |
---|---|
일간경제 / 2025-04-28 / 경기 침체와 필수소비재 / 필수소비재 기업 주가 / 서울 월세비중 사상 최고 (1) | 2025.04.28 |
일간경제 / 2025-04-23 / 토지거래허가지역 / 입주권 제한 / 소비성향분석 / 평균소비성향 (1) | 2025.04.23 |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의 영향 (0) | 2025.04.16 |
일간경제 / 2025-04-15 / 예금 금리 인하 / 주담대 변동금리 인하 / 엔화 강세 (0) | 2025.04.16 |